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75

[부동산 용어] LTV / DTI / DSR 이란? / 의미 / 계산 방법 ● LTV (Loan To Value Ratio, 주택 담보 인정 비율)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.내가 가진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실행한다면 얼마까지 가능한지 비율로 지정한 것을 말합니다. 예를 들어, LTV가 60%인 경우, 3억짜리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할 경우에는 3억원 * 60% = 1억8천만원이 때, 1억 8천만원이 대출의 최대 한도 금액 입니다. 하지만 이는 최대 한도 금앨일 뿐,차주의 부도시, 은행보다 먼저 채권을 회수할 수 있는 선순위채권과 임차보증금 및 최우선 변제 소액임차보증금이 대출한도에서 공제되기 때문에 실제 대출 금액은 이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. 주택담보대출 취급한도 = 주택가격 * 담보인정비율 - (선순위채권+임차보증금 및 최우선변제 소액 .. 2023. 7. 17.
[부동산 용어] 용도지역의 건폐율 / 용적률 / 규정 / 의미 / 용적률상한선 / 건폐율상한선 ● 건폐율이란?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(대지와 건물이 붙어있는 면)의 비율로서,같은 연면적과 대지면적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라면 건폐율이 높을 수록 밀도 있 지어진 건물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아파트를 기준으로 건폐율이 높다는 것은 동 간 거리가 좁고, 빼곡하게 지어져 있음을 예상할 수 있고,건폐율이 낮다는 것은 조경 공간으로 활용할 면적이 넓어 쾌적한 환경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 ● 용적률이란?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(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)의 비율로서,같은 연면적과 대지면적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라면 용적률이 높을 수록 높은 층수의 건물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 용적률은 재건축 사업을 할 때,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척도가 되어 투자 시 개발성과 사업성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 .. 2023. 7. 17.
[부동산 용어] 용도지역 / 도시지역 / 관리지역 / 농림지역 / 자연환경보전지역 / 구분 / 의의 ● 용도지역이란?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·도지사, 대도시 시장이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·건폐율·용적률·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·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·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입니다. 도시지역, 관리지역, 농림지역,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뉘어 집니다. ● 도시지역이란?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개발·정비·관리·보전이 필요한 지역으로주거지역, 상업지역, 공업지역, 녹지지역으로 나뉘어 집니다.구분의의주거지역거주 안녕과 건전한 생활환경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상업지역상업, 그 밖의 업무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공업지역공업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녹지지역자연환경·농지 및 산.. 2023. 7. 17.
[부동산 용어] 주거환경개선사업 / 재건축 / 재개발 / 특징 / 차이점 / 정비기반시설 / 공동이용시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도시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정비구역에서 정비기반시설을 정비하거나 주택 등 건축물을 개량 또는 건설하는 정비사업에는 주거환경개선사업, 재건축사업, 재개발사업이 있습니다. ● 주거환경개선사업이란?도시저소득 주민이 집단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·불량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거나 단독주택 및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 정비기반시설과 *공동이용시설 확충을 통하여 주거환경을 보전, 정비, 개량하기 위한 사업 입니다. Key point : 극히 열악, 달동네 ●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방법은?첫번째, 사업시행자가 정비구역에서 정비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을 새로 설치하거나 확대하고 토지등소유자가 주택을 스스로 보전·정비하거나 개량하는 방법.. 2023. 7. 17.
[부동산 용어] 다가구 주택 / 다세대 주택 / 특징 / 차이점 / 소유권 ● 주택이란?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말하며, 이를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구분합니다. - 단독 주택 : 단독주택, 다중주택, 다가구주택 등- 공동 주택 : 아파트, 연립주택, 다세대주택 등 ● 다가구 주택이란?주택으로 쓰는 1동의 연면적(바닥면적(부설주차장 면적은 제외)의 합)이 660m² 이하 이며, 층수가 3층 이하인 단독 주택 입니다.하나의 건축물에 여러 가구가 살 수 있으나, 가구별 구분 등기가 불가능해 각각 거주하는 부분이 다르더라도 개별적인 소유권을 가질 수 없어 소유자가 1명 입니다. ● 다세대 주택이란?주택으로 쓰는 1동의 연면적(바닥면적(부설주차장 면적은 제외)의 합)이 660m² 이하 이며, 층수가 4층.. 2023. 7. 17.
[부동산 용어] 등기사항전부증명서 / 등기부등본 / 발급수수료 / 표제부 / 갑구 / 을구 / 대리인계약 ● 등기사항전부증명서란? (구, 등기부등본)특정 부동산의 소유자, 소재지, 각종 권리사항 등 모든 등기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공문서 입니다. ● 등기사항전부증명서 발급 및 열람 방법은?인터넷 등기소(http://www.iros.go.kr)에서 열람 및 발급이 가능하며 발급수수료 700원이 부과됩니다. ● 등기사항전부증명서의 내용은?표제부, 갑구, 을구로 구분하여 부동산의 기본 정보와 소유 및 권리 사항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 - 표제부: 부동산의 표시를 담당하며, 부동산의 외형을 판단할 수 있는 지표 입니다. 부동산의 주소 및 위치, 부동산의 토지면적과 건물 면적, 부동산의 등기번호, 소유자 정보(소유자명, 주민등록번호 또는 외국인 등록번호, 주소 및 연락처)를 알 수 있습니다. - 갑구 : 소유권.. 2023. 7. 17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