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● 건폐율이란?
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(대지와 건물이 붙어있는 면)의 비율로서,
같은 연면적과 대지면적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라면 건폐율이 높을 수록 밀도 있 지어진 건물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
아파트를 기준으로 건폐율이 높다는 것은 동 간 거리가 좁고, 빼곡하게 지어져 있음을 예상할 수 있고,
건폐율이 낮다는 것은 조경 공간으로 활용할 면적이 넓어 쾌적한 환경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
● 용적률이란?
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(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)의 비율로서,
같은 연면적과 대지면적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라면 용적률이 높을 수록 높은 층수의 건물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
용적률은 재건축 사업을 할 때,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척도가 되어 투자 시 개발성과 사업성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
모든 대지에는 용도지역이 설정되어 있어 용도지역에 따라 아래와 같이 건폐율·용적률 상한가가 규정되어 있습니다.
(미지정·미세분지역은 하단에 설명되어 있습니다.)
용도지역 | 세부 용도지역 | 건폐율 | 용적률 | ||
도시지역 | 주거지역 | 전용주거지역 | 제1종 | 50% 이하 | 50~100% |
제2종 | 50% 이하 | 50~150% | |||
일반주거지역 | 제1종 | 60% 이하 | 100~200% | ||
제2종 | 60% 이하 | 100~250% | |||
제3종 | 50% 이하 | 100~300% | |||
준주거지역 | 70% 이하 | 200~500% | |||
상업지역 | 중심상업지역 | 90% 이하 | 200~1,500% | ||
일반상업지역 | 80% 이하 | 200~1,300% | |||
유통상업지역 | 80% 이하 | 200~1,100% | |||
근린상업지역 | 70% 이하 | 200~900% | |||
공업지역 | 전용공업지역 | 70% 이하 | 150~300% | ||
일반공업지역 | 150~350% | ||||
준공업지역 | 150~400% | ||||
녹지지역 | 보전녹지지역 | 20% 이하 | 50~80% | ||
생산녹지지역 | 50~100% | ||||
자연녹지지역 | 50~100% | ||||
관리지역 | 보전관리지역 | 20% 이하 | 50~80% | ||
생산관리지역 | 20% 이하 | 50~80% | |||
계획관리지역 | 40% 이하 | 50~100% | |||
농림지역 | 20% 이하 | 50~80% | |||
자연환경보전지역 | 20% 이하 | 50~80% |
* 용도지역의 미지정·미세분지역에서의 행위제한은?
- 도시지역·관리지역·농림지역·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용도가 지정되지 아니한 지역의 건폐율, 용적률, 건축제한에 대하여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합니다.
- 도시지역 또는 관리지역이 세부 용도지역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경우 건폐율, 용적률, 건축제한은 용도지역이 도시지역인 경우, 보전녹지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고, 관리지역인 경우에는 보전관리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합니다.
반응형
'경제(Econom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용어] 전입신고 / 대항력 / 과태료 / 확정일자 / 우선변제권 / 제출서류 / 특약사항 / 소액임차인 (0) | 2023.07.17 |
---|---|
[부동산 용어] LTV / DTI / DSR 이란? / 의미 / 계산 방법 (0) | 2023.07.17 |
[부동산 용어] 용도지역 / 도시지역 / 관리지역 / 농림지역 / 자연환경보전지역 / 구분 / 의의 (0) | 2023.07.17 |
[부동산 용어] 주거환경개선사업 / 재건축 / 재개발 / 특징 / 차이점 / 정비기반시설 / 공동이용시설 (0) | 2023.07.17 |
[부동산 용어] 다가구 주택 / 다세대 주택 / 특징 / 차이점 / 소유권 (0) | 2023.07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