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 기준금리란(base rate)?
금리 체계의 기준이 되는 금리로서,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 금리입니다.
대한민국에서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물가 동향, 금융시장 여건, 국내외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습니다.
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(RP) 매매, 예금 및 대출 등 각종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며, 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
● 시장금리란?
자금 시장에서 거래할 때 시장 참여자들의 자금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금리입니다.
금융시장의 사정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금리로서, 정부 금융기관 및 중앙은행 이외의 민간 금융기관이 실제 적용하고 있는 예금, 대출, 할인율 들을 말하며, 일반적으로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를 가리킵니다.
● 고정금리란?
예금 및 대출 등 각종 거래를 할 때 약정한 금리가 만기가 도래할 때까지 바뀌지 않는 금리입니다.
시장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화하여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습니다.
보통 정기적금, 정기예금 등의 예금 상품이 고정금리가 많습니다.
시장금리의 상승이 예상될 때,
예금 관련 상품 거래 시에는 변동금리가 유리 →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이자도 높아지기 때문.
대출 상품 거래 시에는 고정금리가 유리 → 금리의 상승과 관계 없이 거래 시 약정한 금리대로 이자를 납부하기 때문입니다.
시장금리의 하락이 예상될 때,
예금 관련 상품 거래 시에는 고정금리가 유리 → 금리가 하락하더라도 거래 시 약정한 금리대로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.
대출 상품 거래 시에는 변동금리가 유리 → 금리가 하락함에 따라 지불해야 하는 이자율도 낮아지기 때문입니다.
● 변동금리란?
예금 및 대출 등 각종 거래를 할 때 약정한 금리가 시장금리가 변함에 따라 함께 변동되는 금리입니다.
보통 대출 상품의 경우 변동금리가 많습니다.
시장금리가 변함에 따라 은행은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(채무자 입장에서는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지불해야하는 이자가 늘어납니다.)
'경제(Econom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용어] 국가계획 / 광역도시계획 / 도시군기본계획 / 도시군관리계획 / 도시군계획시설 / 도시군계획사업 / 의미 (0) | 2023.08.09 |
---|---|
[부동산 용어] 주택 / 공동주택 / 단독주택 / 준주택 / 국민주택 / 민영주택 / 도시형생활주택 / 소형주택 (0) | 2023.07.28 |
[부동산 용어] 대지면적 / 건축면적 / 바닥면적 / 연면적 / 의미 / 제외되는면적 (0) | 2023.07.27 |
[부동산 용어] 중개보수 / 중개수수료 / 복비 / 지급시기/ 분양권중개수수료 / 중개보수요율표 (0) | 2023.07.27 |
역전세가 뭘까? 이보다 쉬울 순 없다 깡통전세, 전세사기, 원인 그리고 대처방안 (0) | 2023.07.20 |